챌린지미션소개_

대한민국 국방의 미래를 겨룬다 드론봇챌린지 대회

종목별 평가 안내

상황 부여
∙ 임무구역은 아 함정으로부터 약 7km 정도 떨어져 있는 해상

∙ 해상조난 신호를 수신하였으며, 어선 침몰 상황으로 추정.

∙ 임무는 해상재난 상황(어선 침몰)에 대한 정찰 후 익수자 식별 및 초동조치(구명장비 투하)를 실시.


출발지점에서 지정된 위치를 경유하여 비행(15km 이상) 하면서 수행한 임무충족 여부로 평가 한다.

   * 지정된 위치에 표적 1개 설치, 표적은 침몰 어선 묘사 함정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함 및 이동

∙ 이함은 모의로 드론센터 지상에서 이륙

∙ 인명 구조용 장비(1kg 이상 모의화물) 탑재 후 어선 침몰 예상위치로 이동

침몰위치 최초 좌표는 사전제공

2해상탐색

∙ 해상 표적(침몰 어선) 탐지 및 정보획득

   * A3 용지 크기 알파벳 또는 숫자 식별

획득 정보용 답안지 제출
3

익수자 식별 및 구명정 투하

∙ 익수자 식별 후

∙ 인명 구조용 장비(모의화물) 투하

익수자는 모의(과녁)배치

4


복귀 및 착함

∙ 모의 함정(지상 이동트럭 또는 모션플랫폼) 으로 접근 및 착함

∙ 안전구역으로 이동 및 제자리비행(hovering) 또는 선회비행 실시 

최대비행 시간 확인

  * 모의화물은 참가팀에서 자체 준비(모의화물의 형태는 제한이 없으나 1kg 이상 중량 탑재기준 준수)

기타 사항

∙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지 않고 비행가능구역을 비행하여야 하며, 임무 구역에서 표적(침몰 어선)을 탐지한다.

∙ 표적탐지 및 구조용 장비 투하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운용 모두 가능하며 표적을 탐지한 이후 식별된 정보는 지상에 위치한 통제소에
   저장되어야 한다.

∙ 수동 또는 자동 탐지와 관계없이 식별된 표적은 지상통제소로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며 비행 종료 후 비행궤적 GPS 데이터와 함께 정지영상 (File형태)을 제출한다.

∙ 복귀 및 착함 시 지상 이동중인 모의함정(트럭 또는 모션플랫폼)에 자동접근 및 착함(자동 또는 수동)한다.
  * 자동기능 및 함상 운용기술 구현 정도에 따라 평가 반영

챌린지미션소개_

대한민국 국방의 미래를 겨룬다 드론봇챌린지 대회

종목별 평가 안내

상황 부여

  • 임무구역은 아 함정으로부터 약 7km 정도 떨어져 있는 해상
  • 해상조난 신호를 수신하였으며, 어선 침몰 상황으로 추정.
  • 임무는 해상재난 상황(어선 침몰)에 대한 정찰 후 익수자 식별 및 초동조치(구명장비 투하)를 실시.

  • 출발지점에서 지정된 위치를 경유하여 비행(15km 이상) 하면서 수행한 임무충족 여부로 평가 한다. 
    * 지정된 위치에 표적 1개 설치, 표적은 침몰 어선 묘사 함정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함 및 이동

∙ 이함은 모의로 드론센터 지상에서 이륙

∙ 인명 구조용 장비(1kg 이상 모의화물) 탑재 후 어선 침몰 예상위치로 이동

침몰위치 최초 좌표는 사전제공

2해상탐색

∙ 해상 표적(침몰 어선) 탐지 및 정보획득

   * A3 용지 크기 알파벳 또는 숫자 식별

획득 정보용 답안지 제출
3

익수자 식별 및 구명정 투하

∙ 익수자 식별 후

∙ 인명 구조용 장비(모의화물) 투하

익수자는 모의(과녁)배치

4


복귀 및 착함

∙ 모의 함정(지상 이동트럭 또는 모션플랫폼) 으로 접근 및 착함

∙ 안전구역으로 이동 및 제자리비행(hovering) 또는 선회비행 실시 

최대비행 시간 확인
  • 모의화물은 참가팀에서 자체 준비(모의화물의 형태는 제한이 없으나 1kg 이상 중량 탑재기준 준수)

기타 사항

  •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지 않고 비행가능구역을 비행하여야 하며, 임무 구역에서 표적(침몰 어선)을 탐지한다.
  • 표적탐지 및 구조용 장비 투하는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운용 모두 가능하며 표적을 탐지한 이후 식별된 정보는 지상에 위치한 통제소에 저장되어야 한다.
  • 수동 또는 자동 탐지와 관계없이 식별된 표적은 지상통제소로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며 비행 종료 후 비행궤적 GPS 데이터와 함께 정지영상 (File형태)을 제출한다.
  • 복귀 및 착함 시 지상 이동중인 모의함정(트럭 또는 모션플랫폼)에 자동접근 및 착함(자동 또는 수동)한다.
    *자동기능 및 함상 운용기술 구현 정도에 따라 평가 반영

상황 부여

∙ 공중상황 관련 전투임무기가 긴급출격 대기중(15분 뒤 이륙예정)

∙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륙하기 위한 활주로 탐지·식별 및 제거작업이 필요하다.(활주로 각각 임의지점 上 이물질 발견 보고)

∙ 임무는 활주로 상에 있는 주어진 이물질을 제한시간 內 탐지·식별


활주로 시점에서 종점까지 왕복하여 비행하면서 이물질 탐지 임무를 수행한 임무충족 여부로 평가한다.

   * 이물질 크기 1∼5cm 및 종류 다양, 이물질 개수 20개 내외

   * 참가기체의 형태는 제한없으며, 생활방수가 가능하여야 함.

비행금지·제한구역을 침범하지 않고 비행가능구역을 비행하여야 하며, 활주로 상에서 이물질을 탐지한다.

이물질 탐지는 프로그램 및 광학장비에 의한 자동탐지로 하며, 이물질을 탐지한 이후 해당 이물질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 시현하여야 한다.

  * 영상 시현 시 사용되는 통신망은 제한없음

  * 이물질 탐지 관련 가장 작은 크기의 물질 식별 시 가점 부여

이물질 탐지비행 中 고도제한은 없으며, 활주로 시·종단을 1회 이상 왕복비행하여야 한다.

활주로에서 식별된 이물질은 지상통제소로 실시간 영상으로 전송되어야 하며 비행 종료 후 이물질 발견지점을 영상으로 제출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2비     행

∙ 수동 또는 자동/자율비행으로 임무지역으로 이동


3

이물질 탐지

∙ 활주로 上 특정지점의 이물질을 탐지, 실시간 영상 전송

∙ 이물질 탐지는 자동탐지 기술 시현

∙ 종류별·크기별로 다양한 이물질을 탐지함 (제한시간 15분 內 최대 탐지)


4


착     륙

∙ 수동 또는 자동착륙 모두 가능

∙ 착륙은 지정된 구역 내로 착륙


상황 부여

  • 공중상황 관련 전투임무기가 긴급출격 대기중(15분 뒤 이륙예정)
  •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륙하기 위한 활주로 탐지·식별 및 제거작업이 필요하다.(활주로 각각 임의지점 上 이물질 발견 보고)
  • 임무는 활주로 상에 있는 주어진 이물질을 제한시간 內 탐지·식별

  • 활주로 시점에서 종점까지 왕복하여 비행하면서 이물질 탐지 임무를 수행한 임무충족 여부로 평가한다.
    * 이물질 크기 1∼5cm 및 종류 다양, 이물질 개수 20개 내외
    * 참가기체의 형태는 제한없으며, 생활방수가 가능하여야 함. 
  • 비행금지·제한구역을 침범하지 않고 비행가능구역을 비행하여야 하며, 활주로 상에서 이물질을 탐지한다.
  • 이물질 탐지는 프로그램 및 광학장비에 의한 자동탐지로 하며, 이물질을 탐지한 이후 해당 이물질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 시현하여야 한다.
    * 영상 시현 시 사용되는 통신망은 제한없음
    * 이물질 탐지 관련 가장 작은 크기의 물질 식별 시 가점 부여
  • 이물질 탐지비행 中 고도제한은 없으며, 활주로 시·종단을 1회 이상 왕복비행하여야 한다.
  • 활주로에서 식별된 이물질은 지상통제소로 실시간 영상으로 전송되어야 하며 비행 종료 후 이물질 발견지점을 영상으로 제출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2비     행

∙ 수동 또는 자동/자율비행으로 임무지역으로 이동


3

이물질 탐지

∙ 활주로 上 특정지점의 이물질을 탐지, 실시간 영상 전송

∙ 이물질 탐지는 자동탐지 기술 시현

∙ 종류별·크기별로 다양한 이물질을 탐지함 (제한시간 15분 內 최대 탐지)


4


착     륙

∙ 수동 또는 자동착륙 모두 가능

∙ 착륙은 지정된 구역 내로 착륙


상황 부여

  • ○○지역 內 침입한 적의 드론을 식별하여 신속하게 제압
     * 표적드론[고정익 비행체] 기동시, 드론킬러드론이 대응(Hard-Kill)

  • 출발지점에서 1Km 이상의 지역을 통과한 후 표적을 대상으로 공격하여 제압한다.
    * 참가기체의 형태는 고정익(VTOL), 멀티콥터 등 제한없음
    * 제압방식 : 포획형, 폭발형, 충돌형 등 모든 방법 강구
  • 책임지역 일대(2×2km)에서 비행중인 표적을 킬러드론이 식별하여 표적을 직접 제압한다.
    * 식별 및 타격영상 전송시 가점 부여(본선)
  • 대회장소에는 별도의 LTE 기지국 설치는 없고, 現 통신환경하 진행한다.
  • 비행 및 직충돌은 원격조정이나 자율비행 모두 가능하다.
  • 표적 제압의 소요시간에 따라 점수를 차등 부여한다.
  • 지상 또는 인공·자연 장애물에 착륙(불시착 포함)시 비행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2

임무지역까지 비행

∙ 수동 또는 자동/자율비행으로 경로점을 거쳐공격지역으로 이동


3

표적 탐지 / 공격

∙ 목표지역 표적을 탐지한 후

∙ 컨트롤러 제어 등을 통해 지정된 표적 제압

  * 식별 및 타격영상 전송시 가점 부여(본선)


상황 부여

  • 수개의 적 부대가 다축선으로 전개하고 있다'는 첩보는 입수된 상태
    임무는 군집드론을 표적 지역으로 투입하여, 적 규모 및 활동을 동시 정찰, 표적을 식별 및 타격

  • 수대의(5대 이상) 드론으로 구성된 군집드론(GCS 1대) 기체군을 일정한 대형을 이루며 1Km 이상 비행한다. (표적 3개소 설치)
    * 참가기체의 형태는 고정익(VTOL), 멀티콥터 등 제한없다.
  • 공격기체는 반드시 폭약을 탑재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 모형탄(1kg 이상)을 제작, 부착
  • 책임지역 일대(2×2km)에서 수개의 이격된 표적을 서로 다른 드론이 식별하여 실시간 영상을 전송한다.
  • 군집드론이 다수의 표적을 탐지/식별 후 식별된 全 표적을 제압한다.
    * 일부 드론은 표적 탐지, 식별 및 표적 제압 결과를 실시간 확인(영상전송)
    * 제압방법은 직충돌, 모형탄 낙하 등 제한없으며, 표적제압의 정확도, 소요시간별 점수 차등 부여한다. 
  • 대회장소에는 별도의 LTE 기지국 설치는 없고, 現 통신환경하 진행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2

임무지역까지 비행

∙ 수동 또는 자동/자율비행으로 경로점을 거쳐공격지역으로 이동


3

표적 탐지, 타격, 결과 확인

∙ 책임지역 일대 표적이 있을 경우 표적을 탐지, 표적의 수만큼 영상을 저장 / 실시간 영상 전송

   * 표적 탐지 식별 소요시간별 점수 차등부여

∙ 표적 탐지 및 저장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자동탐지

∙ 탐지 식별된 표적에 대한 직접 타격, 타격 영상 실시간 전송

   * 표적 제압 정확도 및 소요시간별 점수 차등부여


4

착     륙

∙ 수동 또는 자동착륙 모두 가능

∙ 착륙은 지정된 영역 내로 착륙


상황 부여

  • Army TIGER 보병중대 예하 팀이 2개조로 나뉘어 근접전투를 수행하고 있다.
  • 작전지역 내 은거 중인 적은 분대급 이하 소규모로 판단되나 수목 및 수풀로 은폐하여 관측이 제한된다.
  • 임무는 종심 200m 이내 작전지역에서 은거 중인 적을 식별해야 한다.

  • 출발지점에서 이륙하여 작전지역 내 수목을 자동으로 회피하며, 구역내 은거중인 적(마네킹 5개)을 식별하여 GCS로 해당 영상을 전송하고,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안정적으로 착륙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 참가기체의 형태는 멀티콥터형으로 제한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 자동 이륙 시 가점 부여

운용인원: 1명
2

비     행

∙ 자율비행으로 수목을 회피하면서 정찰지역으로 이동

3

표적 식별

∙ 비행간 영상 데이터 등을 실시간 GCS로 전송하고, 비행 경로상 식별된 표적은 GCS화면
  중앙에 위치 후 정지영상으로 저장

∙ 표적 식별과 식별된 표적 저장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자동 모두 가능

4

착     륙

∙ 수동 또는 자동착륙 모두 가능하나 지정된 영역 내에 착륙

  * 자동 착륙 시 가점 부여

기타 사항

  •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지 않고 비행가능구역 내에서 기체가 스스로 수목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자율비행을 하고, 표적을 탐지한다.
  • 표적식별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탐지 모두 가능하나, 표적을 탐지한 이후 표적이 GCS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정지영상으로 저장해야 하며, 한 개의 경로점에 수 개의 표적이 있을 경우, 식별된 표적 모두 정지영상을 저장하여야 한다.
  • 수동 또는 자동탐지에 관계없이 식별된 표적은 GCS로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며 비행 종료 후 비행궤적 GPS 데이터와 함께 정지영상(File형태)을 제출한다.

상황 부여

  • 적 은거 또는 폭발물 등 위험물질 보관이 의심되는 건물 내부 지하로 진입하여 내부 정찰을 실시해야 한다.

  • 건물 앞 공터에서 출발, 계단을 올라가 건물 1층으로 진입하여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을 내려간 후 지하정찰 출발선을 통과한 후, 지하의 각 격실을 정찰하며 표적(5~10개)을 식별하여 GCS로 해당 영상을 전송하고, 지하정찰 출발선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 다족형, 궤도형, 바퀴형 등 로봇형태의 제한없이 출전 가능하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출발

∙ 수동 또는 자동 출발

운용인원: 

2명 이내

2

상향 계단 극복

∙ (건물 밖 공터에서 건물 입구) 상향 계단 극복

3

기동

∙ 계단을 오른 후 건물 현관 1층으로 기동

4

하향 계단 극복

∙ 1층에서 지하 1층으로 하향 계단 극복

5

표적 식별

∙ 지하 격실로 진입하여 영상 데이터 등을 실시간 GCS로 전송, 식별된 표적은 GCS 화면 중앙에
  위치 후 정지영상으로 저장

∙ 표적 식별과 식별된 표적 저장은 수동 또는 자동 모두 가능

6

복 귀

∙ 지하정찰 출발선으로 복귀 

  * 출발선 자동 복귀 시 가점 부여

기타 사항

  • 지하정찰로봇이 촬영하는 모든 영상은 실시간 GCS로 전송한다. 지하로 진입할 경우 RF 통신이 두절되기 때문에 이후 자체 통신중계장비를 활용하여 지하정찰로봇과 GCS간 통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한다.
    * 통신중계장비는 그 형태와 운용방법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으나 인력에 의한 통신중계장비 설치를 금지한다. 다만, 통신중계장비가 지하정찰로봇 몸체에서 자동으로 사출되고, 자동으로 회수될 경우 가점을 부여한다. 
  • 표적식별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식별 모두 가능하나, 표적을 식별한 이후 표적이 GCS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정지영상으로 저장해야 하며, 식별된 표적 모두 정지영상을 저장한다.
  • 수동 또는 자동식별에 관계없이 식별된 표적은 GCS로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며 임무종료 후 로봇주행 궤적(Trajectory)과 함께 정지영상(File형태)을 제출한다.

상황 부여

∙ ○○지역 內 침입한 적의 드론을 식별하여 신속하게 제압

   * 표적드론[고정익 비행체] 기동시, 드론킬러드론이 대응(Hard-Kill)


출발지점에서 1Km 이상의 지역을 통과한 후 표적을 대상으로 공격하여 제압한다.

  * 참가기체의 형태는 고정익(VTOL), 멀티콥터 등 제한없음

  * 제압방식 : 포획형, 폭발형, 충돌형 등 모든 방법 강구

책임지역 일대(2×2km)에서 비행중인 표적을 킬러드론이 식별하여 표적을 직접 제압한다.

  * 식별 및 타격영상 전송시 가점 부여(본선)

대회장소에는 별도의 LTE 기지국 설치는 없고, 現 통신환경하 진행한다.

비행 및 직충돌은 원격조정이나 자율비행 모두 가능하다.

표적 제압의 소요시간에 따라 점수를 차등 부여한다.

지상 또는 인공·자연 장애물에 착륙(불시착 포함)시 비행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2

임무지역까지 비행

∙ 수동 또는 자동/자율비행으로 경로점을 거쳐공격지역으로 이동


3

표적 탐지 / 공격

∙ 목표지역 표적을 탐지한 후

∙ 컨트롤러 제어 등을 통해 지정된 표적 제압

  * 식별 및 타격영상 전송시 가점 부여(본선)


상황 부여

∙ 수개의 적 부대가 다축선으로 전개하고 있다'는 첩보는 입수된 상태

∙ 임무는 군집드론을 표적 지역으로 투입하여, 적 규모 및 활동을 동시 정찰, 표적을 식별 및 타격


수대의(5대 이상) 드론으로 구성된 군집드론(GCS 1대) 기체군을 일정한 대형을 이루며 1Km 이상 비행한다. (표적 3개소 설치)

   * 참가기체의 형태는 고정익(VTOL), 멀티콥터 등 제한없다.

공격기체는 반드시 폭약을 탑재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 모형탄(1kg 이상)을 제작, 부착

책임지역 일대(2×2km)에서 수개의 이격된 표적을 서로 다른 드론이 식별하여 실시간 영상을 전송한다.

군집드론이 다수의 표적을 탐지/식별 후 식별된 全 표적을 제압한다.

   * 일부 드론은 표적 탐지, 식별 및 표적 제압 결과를 실시간 확인(영상전송)

   * 제압방법은 직충돌, 모형탄 낙하 등 제한없으며, 표적제압의 정확도, 소요시간별 점수 차등 부여한다.

대회장소에는 별도의 LTE 기지국 설치는 없고, 現 통신환경하 진행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2

임무지역까지 비행

∙ 수동 또는 자동/자율비행으로 경로점을 거쳐공격지역으로 이동


3

표적 탐지, 타격, 결과 확인

∙ 책임지역 일대 표적이 있을 경우 표적을 탐지, 표적의 수만큼 영상을 저장 / 실시간 영상 전송

   * 표적 탐지 식별 소요시간별 점수 차등부여

∙ 표적 탐지 및 저장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자동탐지

∙ 탐지 식별된 표적에 대한 직접 타격, 타격 영상 실시간 전송

   * 표적 제압 정확도 및 소요시간별 점수 차등부여


4

착     륙

∙ 수동 또는 자동착륙 모두 가능

∙ 착륙은 지정된 영역 내로 착륙


상황 부여

∙ Army TIGER 보병중대 예하 팀이 2개조로 나뉘어 근접전투를 수행하고 있다.

∙ 작전지역 내 은거 중인 적은 분대급 이하 소규모로 판단되나 수목 및 수풀로 은폐하여 관측이 제한된다.

∙ 임무는 종심 200m 이내 작전지역에서 은거 중인 적을 식별해야 한다.


출발지점에서 이륙하여 작전지역 내 수목을 자동으로 회피하며, 구역내 은거중인 적(마네킹 5개)을 식별하여 GCS로 해당 영상을 전송하고,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안정적으로 착륙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 참가기체의 형태는 멀티콥터형으로 제한한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이     륙

∙ 수동 또는 자동이륙 모두 가능
  * 자동 이륙 시 가점 부여

운용인원: 1명
2

비     행

∙ 자율비행으로 수목을 회피하면서 정찰지역으로 이동

3

표적 식별

∙ 비행간 영상 데이터 등을 실시간 GCS로 전송하고, 비행 경로상 식별된 표적은 GCS화면
  중앙에 위치 후 정지영상으로 저장

∙ 표적 식별과 식별된 표적 저장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자동 모두 가능

4

착     륙

∙ 수동 또는 자동착륙 모두 가능하나 지정된 영역 내에 착륙

  * 자동 착륙 시 가점 부여

기타 사항

∙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지 않고 비행가능구역 내에서 기체가 스스로 수목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면서 자율비행을 하고, 표적을 탐지한다.

∙ 표적식별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탐지 모두  가능하나, 표적을 탐지한 이후 표적이 GCS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정지영상으로 저장해야 하며,
  한 개의 경로점에 수 개의 표적이 있을 경우, 식별된 표적 모두 정지영상을 저장하여야 한다.

∙ 수동 또는 자동탐지에 관계없이 식별된 표적은 GCS로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며 비행 종료 후 비행궤적 GPS 데이터와 함께 정지영상(File형태)을 제출한다.

상황 부여

∙ 적 은거 또는 폭발물 등 위험물질 보관이 의심되는 건물 내부 지하로 진입하여 내부 정찰을 실시해야 한다.


건물 앞 공터에서 출발, 계단을 올라가 건물 1층으로 진입하여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을 내려간 후 지하정찰 출발선을 통과한 후, 지하의 각 격실을 정찰하며 표적(5~10개)을 식별하여 
   GCS로 해당 영상을 전송하고, 지하정찰 출발선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 다족형, 궤도형, 바퀴형 등 로봇형태의 제한없이 출전 가능하다.

과업 수행 순서 및 주요 내용

순서수행과목주요내용비고
1출발

∙ 수동 또는 자동 출발

운용인원: 

2명 이내

2

상향 계단 극복

∙ (건물 밖 공터에서 건물 입구) 상향 계단 극복

3

기동

∙ 계단을 오른 후 건물 현관 1층으로 기동

4

하향 계단 극복

∙ 1층에서 지하 1층으로 하향 계단 극복

5

표적 식별

∙ 지하 격실로 진입하여 영상 데이터 등을 실시간 GCS로 전송, 식별된 표적은 GCS 화면 중앙에
  위치 후 정지영상으로 저장

∙ 표적 식별과 식별된 표적 저장은 수동 또는 자동 모두 가능

6

복 귀

∙ 지하정찰 출발선으로 복귀 

  * 출발선 자동 복귀 시 가점 부여

기타 사항

∙ 지하정찰로봇이 촬영하는 모든 영상은 실시간 GCS로 전송한다. 지하로 진입할 경우 RF 통신이 두절되기 때문에 이후 자체 통신중계장비를 활용하여 지하정찰로봇과
  GCS간 통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한다.

   * 통신중계장비는 그 형태와 운용방법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으나 인력에 의한 통신중계장비 설치를 금지한다. 다만, 통신중계장비가 지하정찰로봇 몸체에서
      자동으로 사출되고, 자동으로 회수될 경우 가점을 부여한다.

∙ 표적식별은 운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식별 모두 가능하나, 표적을 식별한 이후 표적이 GCS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정지영상으로 저장해야 하며,
  식별된 표적 모두 정지영상을 저장한다.

∙ 수동 또는 자동식별에 관계없이 식별된 표적은 GCS로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며 임무종료 후 로봇주행 궤적(Trajectory)과 함께 정지영상(File형태)을 제출한다.

[04383]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문의(국방부 유무인복합체계과) : 02-748-5644 (월~금 09:00~18:00 공휴일 제외, 유료)

ⓒ 2024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All rights reserved.  그인

제3회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주관 대행사   (주)국방애드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109 1704  대표 정수연  106-86-68210  연락처 02-749-0218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주)국방애드 

[04383]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문의(국방부 유무인복합체계과) : 02-748-5644 
(월~금 09:00~18:00 공휴일 제외, 유료)

ⓒ 2024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 글관리

제3회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주관 대행사   (주)국방애드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109 1704  
대표 정수연  106-86-68210  
연락처 02-749-0218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주)국방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