챌린지소개_

대한민국 국방의 미래를 겨룬다 드론봇챌린지 대회

대회 및 심사규정

◦ 참가팀(업체, 연구소, 학교, 개인 등)은 1개 팀 단독 또는 다수 기관의 컨소시엄 형태로 참가할 수 있다.

◦ 참가팀은 같은 종류의 기체로 다수 종목에 참여할 수 있다. 
   (1개 팀이 2개 이상의 종목에 참가 시 종목별로 참가 서류를 각각 제출한다.)

◦ 참가팀은 주어진 시간 내에 동일 기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시도가 가능하다.

◦ 참가팀이 직접 제작하지 않은 완제품 및 상용제품은 제한하며 심사위원이 최종 확인한다.

◦ 본선대회시 핵심부품에 대한 국내제작 제품 사용여부를 평가요소로 반영한다.
   (국내제작 입증 자료가 있을 경우 본선대회 시 제출, 대회 당일 심사위원이 확인 예정)
◦ 본선 진출팀은 시범운용적합성심사를 위해 주제발표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한다. 이 때 발표내용은 각 분야/종목 주관기관의 지침과 평가기준에 따른다.

◦ 참가팀 드론·로봇의 외형적인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 기체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지상 운용요원이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 기체에서 촬영되고 있는 임무수행 영상은 GCS로 전송되어야 하며, GCS 영상은 통제부로 재전송될 수 있도록 GCS에 HDMI 등 연결포트가 있어야 한다.

   (GCS영상을 외부로 송출할 수 없을 경우, 대회 주관기관과 협의 필요)

◦ 임무수행은 야지/산악, 도시지역, 해상 등 전술적 환경에서 평가한다.

◦ 표적은 주요 기동로 및 산악지역, 건물내부, 수풀지역, 해상(함정) 등에 배치한다.

◦ 참가팀은 비행안전을 위한 대책(안전모 착용 등)을 강구해야 하며, 기체가 추락하여 인명ㆍ장비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참가팀에 귀속된다.

◦ 본 규정에서 규정하지 않고 있는 사항은 공정성이 위배되지 않도록 심사위원의 논의를 거쳐 결정한다.


구분
 예선 대회
본선 대회 

세부 사항

예선경기
(종목별)
팀별 주제발표

본선경기

(종목별)

최우수팀 선발

(분야별)

심사 대상
참가 신청팀본선 진출팀본선 진출팀종목별 우승팀
심사 방법

∙ 성능 및 임무수행 능력 등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정량평가로 심사





시범운용적합성심사

   - 군 작전활용성

   - 사용자 편의성

   - 운용유지 용이성

   - 단기간사업화 능력 등

   * 각 군 특성에 맞는 평가항목

     추가 예정

종목별기술심사

    - 정량 (50%)+정성(50%)

    - 국내제작 핵심부품

       사용여부  평가예정

   * 드론 핵심부품 : 비행 제어장치,
      변속기, 모터

   * 로봇 핵심부품은 별도 공지 예정

종목별기술심사(70%)

시범운용적합성심사(30%)





심사위원
국방부, 각 군, 방사청, 국과연, 기품원, 국기연, 신속원, 항우연, ETRI, 협회 등 드론봇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

심사중점
- 군사적 활용성: 임무달성, 휴대 용이성, 기동능력, GCS 사용 편의성,장비운반의 용이성, 소음 등

- 기술 성숙도: 창의성 및 첨단기술 적용여부 등(AI 적용, 배터리 능력 등)

평가기준

분야
종목(주관)
평가내용

해양·항공

함정용다목적 드론
(해군)

∙ 15km 이상 비행하여 표적(가상의 침몰중인 어선) 탐지 및 인명구조장비 투하 후 모의함정에
  자동접근 및 착함

  * 함정 이·착함을 위한 자동화 기술, 최대 체공시간 등 확인

활주로 탐지드론
(공군)

∙ 전·평시 항공작전 지원을 위해 드론을 활용, 활주로 상태를 영상으로 파악·식별 및 영상 전송

  * 제한시간 15분 內 활주로 내 이물질 탐지·식별(20개 내외 크기·종류 다양화)

공격

드론 킬러 드론
(드론작전사)

∙ 1km 이상 이동 후 비행중인 고정익 공중표적을 탐지, 제압

   * 식별 및 타격영상 전송시 가점 부여

군집드론(드론작전사)

∙ GCS 1대로 다수의 드론(5대 이상)을 군집 조종하여표적 탐지 및 식별(3~4개), 영상 전송

∙ 1.5km이상의 적 표적탐지 후 공격, 실시간 영상 전송

감시·정찰

수목통과 정찰드론
(육군)

∙ 종심 200m 이내의 구역에서 아군 진지로부터 적 참호로 이동간 각종 수목 및 장애물을 자율적으로
  회피하며 표적을 식별(5개)

  * 기체 : 소형 멀티콥터형 / 운용인원: 1명

지하정찰로봇

(육군)

∙ 무선통신이 제한된 지하 및 건물내부에 은거 중인 가상 적군(표적 5개) 식별

  * 건물내부 및 지하시설에서 RF통신으로 자체 통신중계를 통해 적 식별 영상을 GCS로 전송

  * 운용인원: 2명 이내

챌린지소개_

대한민국 국방의 미래를 겨룬다 드론봇챌린지 대회

대회 및 심사규정

  • 참가팀(업체, 연구소, 학교, 개인 등)은 1개 
    팀 단독 또는 다수 기관의 컨소시엄 형태로 
    참가할 수 있다.
  • 참가팀은 같은 종류의 기체로 다수 종목에 참여할 수 있다.  (1개 팀이 2개 이상의 종목에 참가 시 종목별로 참가 서류를 각각 제출한다.)
  • 참가팀은 주어진 시간 내에 동일 기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시도가 가능하다.
  • 참가팀이 직접 제작하지 않은 완제품 및 상용제품은 제한하며 심사위원이 최종 확인한다.
  • 본선대회시 핵심부품에 대한 국내제작 제품 사용여부를 평가요소로 반영한다. (국내제작 입증 자료가 있을 경우 본선대회 시 제출, 대회 당일 심사위원이 확인 예정)
  • 본선 진출팀은 시범운용적합성심사를 위해 주제발표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한다. 이 때 발표내용은 각 분야/종목 주관기관의 지침과 평가기준에 따른다.
  • 참가팀 드론·로봇의 외형적인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 기체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지상 운용요원이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 기체에서 촬영되고 있는 임무수행 영상은 GCS로 전송되어야 하며, GCS 영상은 통제부로 재전송될 수 있도록 GCS에 HDMI 등 연결포트가 있어야 한다. (GCS영상을 외부로 송출할 수 없을 경우, 대회 주관기관과 협의 필요)
  • 임무수행은 야지/산악, 도시지역, 해상 등 전술적 환경에서 평가한다.
  • 표적은 주요 기동로 및 산악지역, 건물내부, 수풀지역, 해상(함정) 등에 배치한다.
  • 참가팀은 비행안전을 위한 대책(안전모 착용 등)을 강구해야 하며, 기체가 추락하여 인명ㆍ장비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참가팀에 귀속된다.
  • 본 규정에서 규정하지 않고 있는 사항은 공정성이 위배되지 않도록 심사위원의 논의를 거쳐 결정한다.

구분
예선대회
본선대회

세부 사항

예선경기
(종목별)
팀별 주제발표

본선경기

(종목별)

최우수팀 선발

(분야별)

심사 대상
참가 신청팀본선 진출팀본선 진출팀종목별 우승팀
심사 방법

∙ 성능 및 임무수행 능력 등

  기술력을 확인할 수 있는

  정량평가로 심사






시범운용적합성심사

   - 군 작전활용성

   - 사용자 편의성

   - 운용유지 용이성

   - 단기간사업화 능력 등

   * 각 군 특성에 맞는 평가항목

     추가 예정


종목별기술심사

    - 정량 (50%)+정성(50%)

    - 국내제작 핵심부품

       사용여부  평가예정

   * 드론 핵심부품 : 비행 제어장치,
      변속기, 모터

   * 로봇 핵심부품은 별도 공지 예정


종목별기술심사(70%)

시범운용적합성심사(30%)






심사위원

국방부, 각 군, 방사청, 국과연, 기품원, 국기연, 신속원, 항우연, ETRI, 협회 등 드론봇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

심사중점

  • 군사적 활용성: 임무달성, 휴대 용이성, 기동능력, GCS 사용 편의성,장비운반의 용이성, 소음 등
  • 기술 성숙도: 창의성 및 첨단기술 적용여부 등(AI 적용, 배터리 능력 등)


평가기준

분야
종목(주관)
평가내용

해양·항공

함정용다목적 드론
(해군)

∙ 15km 이상 비행하여 표적(가상의 침몰중인 어선) 탐지 및 인명구조장비 투하 후 모의함정에 자동접근 및 착함

* 함정 이·착함을 위한 자동화 기술, 최대 체공시간 등 확인

활주로 탐지드론
(공군)

∙ 전·평시 항공작전 지원을 위해 드론을 활용, 활주로 상태를 영상으로 파악·식별 및 영상 전송

* 제한시간 15분 內 활주로 내 이물질 탐지·식별(20개 내외 크기·종류 다양화)

공격

드론 킬러 드론
(드론작전사)

∙ 1km 이상 이동 후 비행중인 고정익 공중표적을 탐지, 제압

* 식별 및 타격영상 전송시 가점 부여

군집드론(드론작전사)

∙ GCS 1대로 다수의 드론(5대 이상)을 군집 조종하여표적 탐지 및 식별(3~4개), 영상 전송

∙ 1.5km이상의 적 표적탐지 후 공격, 실시간 영상 전송

감시·정찰

수목통과 정찰드론
(육군)

∙ 종심 200m 이내의 구역에서 아군 진지로부터 적 참호로 이동간 각종 수목 및 장애물을 자율적으로 회피하며 표적을 식별(5개)

* 기체 : 소형 멀티콥터형 / 운용인원: 1명

지하정찰로봇

(육군)

∙ 무선통신이 제한된 지하 및 건물내부에 은거 중인 가상 적군(표적 5개) 식별

* 건물내부 및 지하시설에서 RF통신으로 자체 통신중계를 통해 적 식별 영상을 GCS로 전송

* 운용인원: 2명 이내

[04383]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문의(국방부 유무인복합체계과) : 02-748-5644 (월~금 09:00~18:00 공휴일 제외, 유료)

ⓒ 2024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All rights reserved.  그인

제3회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주관 대행사   (주)국방애드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109 1704  대표 정수연  106-86-68210  연락처 02-749-0218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주)국방애드 

[04383]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문의(국방부 유무인복합체계과) : 02-748-5644 
(월~금 09:00~18:00 공휴일 제외, 유료)

ⓒ 2024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 글관리

제3회 국방부장관배 드론봇챌린지 주관 대행사   (주)국방애드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109 1704  
대표 정수연  106-86-68210  
연락처 02-749-0218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주)국방애드